1. 지금 다니시는 회사의 장점은 무엇인가요?
(주)승산, lakaisandpine.co.kr (골프장, 리조트, 물류센터 등 운영)
직원수 약 170명, 자본금 93억, 총 자산 5,553억
1) 리조트 회사다 보니 놀러갈때 방 걱정은 안한다.
2) 자본이 워낙 튼튼해서 망하지 않는다.
3) 사업이 확장되면 새로운 기회가 생긴다.
2. 취업할 때 미리 준비할 것들은 무엇이 있나요?
업이라는 것은 평생을 짊어지고 가야 하는 것이기 때문에..
취업을 목적으로 하는 것보다 내가 이 회사에서 무엇을 할것이고
내가 어떤 것은 반드시 달성하겠다는 목표와 부합하는 회사를 찾을 것
(그래야 많은 고난속에도 내가 이 회사를 다녀야 하는 이유 및 선택한 업종에 남아 있을 이유가 생김)
3. 취업 면접에서는 어떤 것을 보나요?
선택한 직종에 대한 이해도 및 목표의지
4. 입사 시험때 준비해야할 가장 중요한 프로그래밍 언어는 무엇인가요?
리조트 회사는 언어보다 전산장비 유지보수 쪽이고 개발은 외주임
5. 현장에서 많이 쓰이는 프로그래밍 언어는 무엇인가요?
개발직군이 아니라서 잘 모르겠네 ㅎㅎㅎ
6. 선배님께서 다니시는 회사의 복지는 어느 정도인가요?
생일 숙박권 및 식음권, 명절 상품권, 연차수당, 종합건강검진, LG생건 임직원몰, 의료비 지원, 경조비 지원 등
7. 회사에서 야근수당을 주나요?
기술영업직은 포괄연봉에 포함된 시간 초과시 지급
8. 이직하실 때, 근속년수가 어느정도 되나요?
회사마다 다르지만 1년짜리 에서 3년정도 사이..
단, 그 회사에서 이력서에 한줄 넣을 만한 것들 하나 이상씩은 반드시 했음.
9. 대학 생활때 가장 하고 싶었던 것은 무엇인가요?
폭 넓은 지식 탐구 활동.
10. 학교에서 들은 전공수업은, 현업때 얼마나 도움이 되나요?
인사팀에 재직중이다 보니.. 전공수업이 딱히 도움된건 산업이 흘러가는 방향 및
IT의 발전이 산업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해서 보는 시각이 생긴다.
11. 프로그래밍을 무조건 잘해야 하나요?
리조트 회사의 전산직은 개발 잘 못해도 무관함.
12. 전공 외에 취업에 따로 준비해야할 것은 무엇이 있나요?
취업보다 직장에서 오래 살아남는 법을 준비하는게 좋음
문서작성 및 해야할 말 하지 말아야할 말 구분하기 등
13. 다른 IT회사와 달리, 게임회사에 입사하기 위해 준비해야 할 것들에는 무엇이 있나요?
게임회사라면 학벌.. (NC는 서울대 선호함 대학원가는게 유리)
야근에 야근해도 지치지 않는 체력(다수의 게임회사는 야근 많음)
네임밸류 있는 곳들은 대부분 코딩실력(지원하는 파트마다 다름)
14. 지금 회사의 여사원들은 많나요?
리조트 골프장은 서비스 회사라 많음. 절반정도
15. 빅데이터 분야의 앞으로의 전망이 어떻다고 생각하시나요?
뭐든 전망은 다 있겠지...
하지만 내가 하는 분야에 대한 전망은 내가 만든다고 생각하는게 좋음.
댓글 달기